티스토리 뷰

5월, 종합소득세 신고의 달이 다가오고 있습니다. 많은 분들이 세금 납부의 의무감에 휩싸이지만, 꼼꼼히 따져보면 놓치기 쉬운 다양한 소득 공제 항목들이 존재합니다. 이러한 공제 항목들을 제대로 활용하면 세금 부담을 줄일 수 있다는 사실!

오늘은 2025년 종합소득세 신고 시 놓치면 후회할 주요 소득 공제 항목들을 콕콕 집어 알려드리겠습니다.

 

소득 공제란? 과세 대상 소득에서 특정 금액을 빼주어 세금 부과 기준인 과세 표준을 낮추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소득 공제를 많이 받을수록 납부해야 할 세금이 줄어드는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1. 기본 중의 기본! 인적 공제

  • 본인 공제: 납세자 본인은 연 150만 원의 기본 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 배우자 공제: 소득 금액이 100만 원 이하인 배우자가 있다면 추가로 연 150만 원의 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맞벌이 부부라도 배우자 요건을 충족하면 공제 가능합니다.
  • 부양가족 공제: 소득 금액이 100만 원 이하이고, 만 20세 이하 또는 만 60세 이상인 직계존비속 및 형제자매 1인당 연 150만 원의 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자녀 세액 공제와 중복으로 적용 가능합니다.

2. 미래를 위한 투자! 연금 관련 공제

  • 국민연금보험료 공제: 납부한 국민연금 보험료 전액을 소득 금액에서 공제받을 수 있습니다.
  • 개인연금저축 공제: 연간 납입액의 400만 원 한도 내에서 일정 비율(만 50세 미만 15%, 만 50세 이상 12%)을 세액 공제받을 수 있습니다. 소득 공제와는 다른 개념이지만, 세금 부담을 줄이는 효과는 동일합니다.
  • 연금저축 및 퇴직연금 공제: 연간 납입액 합산 최대 900만 원(퇴직연금 포함 시) 한도 내에서 세액 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3. 내 집 마련의 꿈! 주택자금 관련 공제

  • 주택담보대출 이자 상환액 공제: 무주택 또는 1주택 세대주가 주택 취득을 위해 받은 대출의 이자 상환액에 대해 일정 한도 내에서 소득 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대출 종류 및 조건에 따라 공제 한도가 다르므로 꼼꼼히 확인해야 합니다.
  • 주택임차차입금 원리금 상환액 공제: 무주택 세대주가 전용면적 85㎡ 이하 또는 기준시가 4억 원 이하의 주택 임차를 위해 빌린 자금의 원리금 상환액에 대해 연 400만 원 한도 내에서 소득 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4. 든든한 노후 준비! 소기업소상공인 공제부금 (노란우산공제)

  • 소기업, 소상공인 대표자가 폐업, 사망, 노령 등에 대비하기 위해 가입하는 노란우산공제 납입액에 대해 연간 최대 500만 원까지 소득 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5. 건강과 교육을 위한 투자! 특별 소득 공제

 

  • 건강보험료 및 노인장기요양보험료 공제: 납부한 금액 전액을 소득 금액에서 공제받을 수 있습니다.
  • 고용보험료 공제: 납부한 금액 전액을 소득 금액에서 공제받을 수 있습니다.
  • 주택마련저축 공제: 청약저축, 주택청약종합저축 등에 납입한 금액에 대해 일정 요건 충족 시 소득 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놓치지 마세요! 추가적인 절세 팁

  • 신용카드 등 사용액 공제: 신용카드, 직불카드, 현금영수증 사용 금액에 대해 일정 비율을 소득 공제받을 수 있습니다. 연말정산 시 꼼꼼히 챙겨야 할 부분입니다.
  • 기부금 공제: 지정기부금, 법정기부금 등에 대해 소득 금액의 일정 비율 한도 내에서 세액 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2025년 종합소득세 신고, 이제 더 이상 어렵게 생각하지 마세요!

오늘 알려드린 소득 공제 항목들을 꼼꼼히 확인하고 관련 서류를 미리 준비한다면, 세금 부담을 줄이고 현명한 납세를 실천할 수 있습니다. 국세청 홈택스 또는 세무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지금 바로 챙겨서 똑똑한 절세, 놓치지 마세요!

댓글
반응형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